늦게 온 소포 - 고두현
늦게 온 소포
고두현
밤에 온 소포를 받고 문 닫지 못한다.
서투른 글씨로 동여맨 겹겹의 매듭마다
주름진 손마디 한데 묶여 도착한
어머님 겨울 안부, 남쪽 섬 먼 길을
해풍도 마르지 않고 바삐 왔구나.
울타리 없는 곳에 혼자 남아
빈 지붕만 지키는 쓸쓸함
두터운 마분지에 싸고 또 싸서
속엣것보다 포장 더 무겁게 담아 보낸
소포 끈 찬찬히 풀다 보면 낯선 서울살이
찌든 생활의 겉꺼풀들도 하나씩 벗겨지고
오래된 장갑 버선 한 짝
해진 내의까지 감기고 얽힌 무명실 줄 따라
펼쳐지더니 드디어 한지더미 속에서 놀란 듯
얼굴 내미는 남해산 유자 아홉 개.
「큰 집 뒤따메 올 유자가 잘 댔다고 몃 개 따서
너어 보내니 춥울 때 다려 먹거라. 고생 만앗지야
봄 볕치 풀리믄 또 조흔 일도 안 잇것나. 사람이
다 지 아래를 보고 사는 거라 어렵더라도 참고
반다시 몸만 성키 추스리라」
헤쳐놓았던 몇 겹의 종이
다시 접었다 펼쳤다 밤새
남향의 문 닫지 못하고
무연히 콧등 시큰거려 내다본 밖으로
새벽 눈발이 하얗게 손 흔들며
글썽글썽 녹고 있다.
겨울이 되면
자주 읽고 쓰고,
외우게 되는 시입니다.
첫줄부터 전해지는
그 따뜻한 마음,
엄마의 사랑을 담습니다.
고두현시인은 어린시절 부모님이 편찮으셔서
남해 금산 보리암 아래 작은 절로 이사를 가
산에서 1년정도 청설모새끼처럼 산을 휘젓으며 지내며
가끔씩 절에 휴양 와 있는 서울 할아버지한테 천자문을
배우는 것 외에는 마음껏 놀았다고 합니다.
산과 바다를 마주하며 책갈피 속의 명문장들을옮겨 쓰고,
아름다운 시를 베껴 적으며 신나게 '자연 수업' 을 했다고 합니다.